ABOUT

2025 ART FOR;REST FESTIVAL

일시
2025년 9월 6일 (SAT), 13일 (SAT), 21일 (SUN)
장소
서울어린이대공원 숲속의무대,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뉴서울CC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부가 놀이가 되는 국내 유일의 문화예술 후원 페스티벌,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이 더 크고 푸른 숲이 되어 돌아옵니다.

서울 도심부터 자연 속 초록 공간까지 —
세 번의 무대에서 예술과 나눔의 가치를 함께 경험해보세요!

티켓 수익금은 아동⋅청소년 전용 공연장 ‘아르코 꿈밭극장’ (구. 학전소극장)과
청년 연극인의 창작 역량 강화와 미래 준비를 지원하는 ‘연극내일기금’에 전액 사용됩니다.
* 수수료, 저작권료 등 제외

예술나무 운동 더 보기
  • 놀이가 기부가 되는 축제
    관객은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순간 기부자가 됩니다. 티켓 구입부터 현장 기부프로그램까지, 놀면서 기부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장르 뮤직 페스티벌
    AFF에서는 대중음악과 클래식, 재즈, 뮤지컬, 전통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축제
    AFF는 전 세대가 즐길 수 있는 페스티벌입니다. 현장에 어린이 프로그램이 마련됩니다.
  • 접근성 확대를 위한 노력
    AFF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공간이 마련됩니다. 또한 모든 공연에 수어 통역을 제공합니다.

LINE UP

TICKET

2025 ART FOR:REST FESTIVAL 2025 ART FOR:REST FESTIVAL

티켓 수익금은 아동⋅청소년 전용 공연장 ‘아르코 꿈밭극장’

(구. 학전소극장)의 운영 및 창작 지원에 사용됩니다.

* 수수료, 저작권료 등 제외

본 공연은 플로어석(지정석), 데크석(비지정석),

피크닉석(비지정석)으로 운영됩니다.

티켓은 모바일 티켓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공연 당일

현장에 오셔서 본인 확인 후 입장 밴드를 수령하셔야 합니다.

티켓 수익금은 청년 연극인의 창작 역량 강화와 미래 준비를

지원하는 ‘연극내일기금’에 전액 사용됩니다.

* 수수료, 저작권료 등 제외

본 공연은 전석 지정석으로 운영되며,

일부 좌석은 문화예술 후원자와 연계하여 판매될 예정입니다.

티켓은 공연 당일 현장에 오셔서 예매자 본인 확인 후

입장 밴드로 수령 가능합니다.

SPECIAL PROGRAM

NOTICE

  •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개최 안내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이 개최됩니다.

    날짜 : 2025년 9월 6일 (토), 2025년 9월 13일 (토), 2025년 9월 21일 (일)
    장소 : 서울어린이대공원,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뉴서울CC

    “예술로 나누고, 기부로 잇다”
    국내 유일의 문화예술 후원 페스티벌

    3년을 맞이하는 만큼 더욱 다채로워진 무대,
    올해는 3곳의 장소에서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푸릇푸릇한 초록의 감성,
    다가오는 9월을 후원의 물결로 물들일
    AFF만의 분위기를 먼저 느껴보세요.
  •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티켓 오픈 안내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의 티켓 오픈 안내입니다.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in 서울어린이대공원>

    티켓 금액 : 플로어석 55,000원/ 데크석 44,000원/ 피크닉석 33,000원
    예매처 : NOL 티켓, 티켓링크, 예스24
    구매 매수 : 예매처별 아이디 당 4매
    관람등급 : 전체 관람가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in 뉴서울CC>

    티켓 금액 : 전석 60,000원
    *2025년 연극/뮤지컬 유료 티켓 소지자 50% 할인
    (2025년 1월 1일부터 9월 21일 사이)
    예매처 : NOL 티켓 (단독 오픈)
    구매 매수 : 아이디 당 4매
    관람등급 : 전체 관람가

FAQ

  • 티켓은 1인당 몇 장까지 구매가 가능한가요?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티켓은 1인(아이디) 당 4장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 공연 당일 우천 시에도 공연이 진행되나요?

    시간당 5mm 미만: 정상 진행
    시간당 5~10mm 미만: 상황에 따라 운영
    시간당 10mm 이상: 주최 측의 판단에 의해 행사 중지

    * 우천 시 실시간으로 페스티벌 공식 SNS를 통해 안내해 드릴 예정입니다.
  • 현장 판매도 진행되나요?

    현장 판매는 정가로 진행되며 매진 시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장 판매 시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
    현장 판매 진행은 추후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공식 SNS를 통해 안내됩니다.
  • 현장에 늦게 도착해도 입장 밴드를 받을 수 있나요? 입장 후 공연장 밖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나요?

    티켓 부스 오픈 시간 이후에도 입장 밴드 교환이 가능하고, 입장 밴드 착용 시 자유롭게 이동 및 재입장이 가능합니다.
  • 티켓 부스 운영 시간은 언제부터이고, 입장은 몇 시부터 가능한가요?

    티켓 부스 운영시간은 페스티벌 회차마다 상이하므로 각 예매처의 상세 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티켓 부스에서 티켓을 입장 밴드로 교환하신 후 경호의 안내에 따라 입장 대기 줄을 서주시기를 바랍니다.
    공연장 입장은 페스티벌 회차별 정해진 시간에 맞춰 경호의 안내에 따라 진행됩니다.
  • 현장에서 입장 밴드를 대신 수령할 수 있나요? 티켓의 캡쳐 이미지로 입장이 가능한가요?

    입장 밴드는 탈부착 및 절단 등 어떤 방법으로도 타인에게 중도 양도할 수 없으며, 적발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합니다.
    티켓 캡처본 및 다운로드한 티켓을 SNS에 업로드 혹은 타인에게 공유해서는 안되며,
    이로 인해 입장 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공연 주최 주관사 예매처 및 공연장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반입 불가 물품은 무엇인가요?

    1) 음식 및 음료 관련
    배달 음식 및 일회용기에 담긴 모든 음식물 등 잔디에 손상을 주는 음식물은 반입할 수 없습니다.
    유리병, 캔, 병 PET 등에 담긴 모든 음료 및 주류는 반입이 제한됩니다.

    2) 캠핑 및 대형 물품
    높이가 있는 의자, 텐트, 그늘막, 캠핑 의자, 웨건 등 캠핑용품 일체는 반입이 불가합니다.
    미니 테이블, 아이스박스, 보냉백, 폴딩박스 등의 야외용 물품은 반입할 수 없습니다.
    바퀴가 달린 물품(자전거, 킥보드, 캐리어, 카트 등)은 공연장 내 반입이 제한됩니다.

    3) 위험물 및 기타 제한 물품
    칼, 가위, 폭죽, 레이저 포인터 등 타인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 물품은 반입이 금지됩니다.
    가스 충전식 랜턴 및 스프레이류는 안전상의 이유로 반입할 수 없습니다.

    4) 시야 및 관람 방해 물품
    우산, 파라솔은 반입이 제한됩니다.
    ※ 일부 좌석에는 그늘이 없으므로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모자, 미니 양산, 선글라스 등은 지참 가능합니다.
    타인의 시야를 가리거나 공연 관람을 방해하는 모든 물품은 반입이 불가합니다.

    5) 촬영 장비 관련
    전문 촬영 장비 및 드론(고배율 DSLR, 줌렌즈 포함)은 반입 및 사용이 금지됩니다.
    ※ 공연 중 생중계 및 무단 촬영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6) 반려동물
    반려동물은 출입이 불가합니다. (※ 단, 시각장애인 안내견은 입장이 가능합니다.)

    7) 유모차
    유모차는 객석 경사 구조로 인해 안정상의 이유로 반입이 제한됩니다.
    ※ 별도의 유모차 보관소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8) 기타
    이 외에도 주최 측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는 모든 물품은 반입이 제한됩니다.
    ※ 상기 항목은 현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최신 정보는 공식 SNS 및 현장 안내를 통해 별도 공지할 예정입니다.
  • 공연은 지정 좌석에서만 관람해야 하나요?

    지정석의 경우에는 지정 좌석이 아닌 다른 좌석으로 이동이 절대 불가합니다.
    공연장 내에서 본인의 좌석 외 자리 이동을 자제해 주시고, 반드시 예매한 좌석에서 관람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INSTAGRAM

PARTNER PROGRAM

CREDIT

본 페스티벌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최합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